좋은 어른이란 무엇인가?
교육자와 학생의 관계에 대하여
교육자의 역할은 과연 어디까지인가
“아이들을 가르치는 이유는 한 가지에요. 바꿀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죠.”
토니 케이 감독의 영화 <디태치먼트> 의 인트로에서 교사인 애드리언 브로디 (헨리 役) 가 읊조리던 대사다. 여전히 많은 교사들이 이렇게 믿고 있을까.
학교를 흔히들 작은 사회라 명칭한다. 학교를 다니는 동안만은 학생과 교사는 가족과 친구 다음으로 가까운 관계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저 지식의 가르침만을 교육이라고 생각했던 시절이 있었다. 커가면서 알게 된 사실은, 교육자는 생각보다도 책임감이 더 강한 직업이라는 것이다.
교육자의 역할은 과연 어디까지인가. 한때 교사를, 어쩌면 여전히 교사를 꿈꾸는 한 사람으로서 너무나도 깊은 질문이라 쉽게 정답을 내릴 수 없다. 교육자는 학생을 어디까지 책임질 수 있을까.
단순하게 생각해 보기로 한다. 어떻게 보면, 교사와 학생의 관계도 결국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다. 그렇다. 그들에게는 그저 좋은 어른이 필요했던 것이다.
어디로 가야 할지 아직 모르는 학생들에게 지도를 건네주고 위험 지역을 표시해주는 것, 같이 걸어가다가 때가 되면 혼자 걸어갈 수 있도록 응원해주는 것. 연필을 잡은 학생들이 편찬하기 시작한 책의 편집자가 되어주기도 하고 때로는 독자가 되어주는 것, 혼자 쓸 수 있는 때가 되면 서문을 써주며 독려해주는 것.
교육자는 학생을 평생 책임져줄 수는 없다. 그렇다고 다니고 있는 학교 생활이 끝나면 그들의 역할이 완전히 소멸되는 것 또한 아니다. 교사는 학생이 그들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어떤 연유 하나만으로도 학생들의 기억에 남을만한 좋은 어른으로 남는다면. 그 기억 하나만으로 그들이 삶을 바꿀 수 있는 용기가 생겼다면.
영화 속 좋은 어른들의 모습
피터 위어 감독의 <죽은 시인의 사회> 속 로빈 윌리엄스 (키팅 선생님 役) 는 학생들이 자신만의 걸음으로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기를 바랐던 교사이다.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현재를 살아가라는 Carpe Diem, 그는 공부보다도 더 중요한 인생을 알려주었다.
명장면이라 불리는 죽은 시인의 사회의 마지막 장면은 자신들에게 인생을 가르쳐준 진정한 교사였던 키팅 선생님을 위해서 에단 호크 (토드 役) 가 책상 위로 올라가 소리치는 장면이다. “Oh Captain, My Captain.” 학생들은 그를 따라 책상 위로 올라가 키팅 선생님의 마지막을 함께 배웅한다. 키팅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시로써 다가갔다. 나 또한 낭만을 가득 담아 적어 내려갈 시들이 선생님을 향한 최선의 보답이라는 마음을 간직하며 가끔 시를 써내려간다.
알렉산더 페인 감독의 영화 <바튼 아카데미> 속 폴 지아마티 (폴 허넘 役) 는 외로움을 안고 있던 학생 도미닉 세사 (앵거스 털리 役) 의 겨울을 함께한다. 앵거스는 모종의 이유로 방학식이 끝난 후에도 학교에 머무르게 된다. 방학 동안 그는 규율을 중요시 여겼던 폴 허넘 선생님과 함께 생활을 하게 되는데, 자유를 중요시했던 앵거스에게는 쉽지 않은 나날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서로의 상처를 알아가고, 마침내 폴 허넘은 앵거스가 감추고 있던 상처를 따뜻하게 안아준다.
폴 허넘의 틀이 깨진 인상 깊은 장면 하나가 떠오른다. 식당에서 체리 쥬빌레를 먹고 싶었던 앵거스였지만, 식당에서는 규정상 술을 마실 수 없게 하였다. 식당의 규정에 반발하며, 그들은 아이스크림과 체리만을 포장해서 나오게 된다. 그리고 폴 허넘이 좋아하는 짐빔을 그 위에 뿌려, 주차장에서 앵거스만을 위한 체리 쥬빌레를 만들어준다. 고지식했던 그가 건넨 체리 쥬빌레식 위로가 아니었을까.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영화 <굿 윌 헌팅> 속 로빈 윌리엄스 (숀 맥과이어 役) 의 위로는 학생 하나의 삶을 바꾸기에 충분했다. 모두 자신의 잘못인 것 같다는 맷 데이먼 (윌 헌팅 役) 에게 너의 잘못이 아니라고 얘기하는 숀. 굳세 보이려고 했던 그도 결국 어린 아이였음을, 펑펑 우는 윌의 모습이 말해준다. 숀의 한마디로 닫혀있던 마음의 문을 열게 된 윌은 20년의 긴 겨울 끝에 봄을 맞이하게 된다.
이상과 현실, 그럼에도 기적을 꿈꾸며
영화니까 희망적인 결말을 맞이하겠지, 라고 말하는 이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나 또한 그렇게 생각한다. 좋은 어른을 만나지 못하는 경우도, 만났더라도 선택은 학생의 몫이기에 올바른 길을 걸어가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토니 케이 감독의 영화 <디태치먼트>는 교권이 붕괴된 현실 속 교사의 무력함을 직시하게 한다. 애드리언 브로디 (헨리 役) 는 상처받은 두 소녀를 도우려 하지만, 결국 모든 것을 책임질 수는 없다는 한계를 절감한다. 그는 그들의 모든 것, 앞으로의 인생까지 책임져줄 수 없다는 결론을 맞이한다. (물론 영화 속에서 헨리는 자신이 포기했던 에리카를 다시 찾아가는, 조금은 희망적인 결말을 맞이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나는 기적을 꿈꾼다. 기적은 특별하지 않다. 학생들의 평범한 삶을 응원하는 것만으로도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헨리가 학생들에게 주고 싶었던 것은 그저 평범한 행복이었을 것이다. 학생이 학생의 나이에 누릴 수 있는 평범함 말이다. 어쩌면 어딘가에서 방황하고 있는 학생들은 그 어른 한 명을 찾고 싶어 그토록 방황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위에도 언급했지만,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도를 쥐어주더라도, 결국 어떤 길을 선택할지는 학생의 몫이다. <죽은 시인의 사회> 속 토드가 그 이후에도 시를 계속 써 내려갔을지, <바튼 아카데미> 속 앵거스가 성실하게 학교를 다녔을지, <굿 윌 헌팅> 속 윌의 새로운 도전이 언제까지 이어졌을지. 그들의 미래를 우리는 감히 예측할 수 없다. 선택은 그들의 몫이니까 말이다. 그럼에도 올바를 방향을 택하여 미래의 어느 순간을 살아가고 있을 때, 문득 그 교사가 나의 삶에서 잊을 수 없는 한 사람이었음을 떠올리는 순간이 찾아올 것이라고 확신한다.
인간다움이 점점 흐려지는 시대, 교사는 학생에게 인간 대 인간으로 다가가야 할 마지막 어른일지 모른다. 나는 바란다. 복잡한 세상 속에서 올바른 방향을 말해주고, 마음을 어루만질 수 있는 이들이 더 많아지기를. 영화가 아닌 현실 속에서도 영화 같은 순간이 자주 펼쳐지기를. [객원 에디터 조유정]
씨네필매거진 공식 인스타그램 @cinephile_mag
https://www.instagram.com/cinephile_mag/
씨네필매거진 객원 에디터 모집: https://www.cinephile.kr/news/articleView.html?idxno=474